국내 유일의 오마루 스톤 조각가로 알려진 이진.
그녀를 알기 위해서는 오마루 스톤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오마루 스톤은 대리석이 되기 바로
전 단계의 돌이다. 지질학명으로는‘라임 스톤’이지만
세계적으로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 명을 따서 이름 붙이기도 한다.
조각가 이진 씨가 사용하는 라임 스톤은 뉴질랜드
오마루 지역에 있는 오마루 스톤이다.“ 다른 라임
스톤에 비해 오마루 스톤은 질감이 매우 부드럽고
섬세해서 조각할 때 구멍이 나지 않고 실크처럼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는 것이 큰 장점이죠.
세계적으로 그 품질을 인정받고 있는데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 같아요.”
오마루스톤은 바다 아래에서 해양 동물들의 뼈,
껍질, 해저식물 등의 결정체로 형성된 석회암으로,
40만년 정도의 나이를 갖고 있다. 우리가 흔히 봐
왔던 돌과는 비교할 수 없는 색감과 질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럽과 호주, 뉴질랜드 등지의 유명한
교회, 법원, 은행, 오페라하우스는 물론, 현대적인
감각의 호텔과 대학 건물 등이 오마루 스톤으로
만들어졌다.
그녀는 “오마루 스톤은 시대를 초월한 고상함과
따뜻함을 동시에 지니고 있고, 인간이 닮고 싶어
하는 자연의 모든 색을 담고 있는 휴머니즘이 강한
따뜻한 돌입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고독함과 차가운 도시환경의 적막함을 어루만져줄
수 있는 최상의 조각재료라 여겨집니다. 실내나
실외 어디든 어울리는 아름다운 작품을 만들어 내는
오마루 스톤입니다”라고 말했다.
창작열로 가득 찬 카멜레온 같은 그녀
이진작가는 홍익대에서 도조를 전공했다. 늘 새로운
것을 향한 목마름이 강해 정도(正道)만을 걷는
이들에게는 이단아 취급을 받기도 했지만 한 기수에
한 명만의 작품을 전시하는 모교 박물관에는 그녀의
작품이 선정되었다. 그만큼 그녀의 실력은 출중했다.
그러나 그녀의 끼는 전공분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었다. 1998년처음으로 뉴질랜드를 밟은 그녀는
8년의 긴 시간을 프랑스와 뉴질랜드, 독일 등지에서
도예활동과 그림전시회, 국제학교에서의 조각 강의,
동시통역, 행사 통역, 일식당 벽화 인테리어
프로젝트 등 다양한 커리어를 쌓았다.
2000년도에는 팝아트 색깔이 강한 물고기 모양의
인테리어 조각품을 디자인해서 전국적으로 판매를
한 적이 있었다. 당시에는 모두 무모한 도전이었다고
했지만, 10년이 지난 지금은 많은 뉴질랜드
공예가들이 사용하여 코루 디자인과 더불어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디자인중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뿐만 아니라 2000년 심장재단 주관 단체전
‘유화와 조각전(시계탑 갤러리,뉴질랜드)’, 2003년
LG카이 핸드폰프로모션 파티 디자인, 동아TV 무대
디자인, 2006년 GOHO 유화 단체전(뉘렌베르그,
독일), 2008년 배우 하지원 뉴질랜드 문화홍보대사
선정 기념 트로피 제작, 뉴질랜드 문화의 밤 작품
전시 등 매년 미술과 공공분야의 경계를 넘나들며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다.
그녀는 훌쩍 떠나는 일이 많다. “여행을 통해 지나온
일들을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의 영감을 얻는다고
할까요?” 2010년에는 3개월이 넘는 시간동안 여행을
떠났다. 배낭 하나 달랑 매고 태국과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등지를 떠돌았다. 유명 맛집,
유명 관광지가 아닌 지역민들이 살고 있는 마을
깊숙이 떠난 여행이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꿈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그들의 모습에 ‘내일은 또 온다.
시작할때의 마음과 기본을 잊지 말자.
더 열심히 하자’는 생각이 들었단다.
그녀는 돌아 온 후 그때의 기억을 잊지 않기 위해
개인사진전을 열었다. 그리고 다시 힘을 내어 작품
활동에 몰입하고 있다.
뉴질랜드가사랑한 작가, 이진
2007년 후반 오직 오마루 스톤만을 사용하는
쏠라 아트 조각 스튜디오(www.solarartstudio.com)를
인천시 부평구 송내에 오픈하면서 그녀는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2008년 호주뉴질랜드 상공회의소의 비즈니스
어워드에 ‘이진 작가의 파인 아트를 우승자에게
트로피로 주자’는 의견이 나왔고, 그녀는 자신의
조각을 입구에 전시하는 조건으로 프로모션을
허락했다. 소위 대박이난 것이다. 상을 받으러온
사람보다 트로피를 디자인한 이진 작가에게
스포트라이트가 집중된 것. 그녀는 ‘행운 같은 행사’
였다고 말한다. 2009년에 열린 뉴질랜드
페스티벌에서는 한국과 뉴질랜드 양국을 대표하는
미술 작품으로 그녀의 ‘에오테아로아’, ‘바람’이 초대를
받았다. 이작품들은 뉴질랜드 대사관과의
콜레보레이션 전시회 등으로 코엑스, 그랜드 하얏트
호텔과 밀레니움 힐튼에서도 선보였다.
뉴질랜드대사관 관계자는 “뉴질랜드의 천연자원인
오마루 스톤을 한국에 알리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한 일이지요. 이진작가님이 더욱 왕성하게
활동해서 한국과 뉴질랜드의 가교 역할을
해주셨으면 합니다”라고 말했다. 한국과 뉴질랜드의
문화 교류전에서 한국의 대표하는 문화인으로
그녀가 각인된 것이다. 새로운 대사가 올 때마다
그녀는 초청된다.
그 중 가장 감동적이었던 순간은 뉴질랜드의
존 키 수상과의 만남이다. 오마루스톤에 대한 그녀의
남다른 열정이 알려지면서 2009년코엑스에서 열린
뉴질랜드 페스티벌 리셉션 행사에서 이뤄진 것이다.
이때 존 키수상은 그녀의 작품에 깊은 관심을
보임과 동시에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천연 돌로
작업하는 것에 대해 격려를 아끼지 않았으며
한국에서 환경 조각가로서의 성공을 진심으로
기원했다.
뉴질랜드의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는 그녀가
그 사랑에 보답한 일도 있었다. 지난해 뉴질랜드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때 누구보다 앞장 서 피해 복구
기금 마련을 위해 애썼다. 주한뉴질랜드
상공회의소와 주한 호주 상공회의소는 공동으로
지진 피해를 입은 뉴질랜드 및 일본 피해 복구
기금을 마련하기 위한2011럭비자선행사를 열었다.
뉴질랜드럭비 영웅숀 피츠패트릭과 전 호주럭비
국가대표팀감독 에디존스를 포함해 약400여 명이
참석한 이 행사에서 그녀는 뉴질랜드를 위한
애도의 연설을 맡았으며, 작품을 선뜻 내어 놓아
복구 기금 마련에 도움을 주었다.
세계각국의 러브콜을 받다
그녀는 지난해 말 노르웨이 선박 회사인
윌.윌레헴센의 150주년 기념비를 맡아 제작했다.
150주년이라는 기념비적인 작업이기에 더욱 작가
선정에 심혈을 기울였을 텐데, 최종적으로 그녀가
선택된 것이다. 작업의 미션은 분명했다.
바다의 상징과 150주년이라는것.
그녀는 <닻>이라는 이름의 조각을 선보였고,
한국의 아름다움까지 첨가했다. 이작품은 큰 호평을
받았으며, 회사의 로비에 장식되었다.
“바다의 상징으로 닻을 모티브로 삼았고,
150주년을 상징하는 문양으로 15개의파도를
새겼습니다. 닻의 머리 부분은 한국 전통문양을
빌어 조각했습니다.”
그녀는 2012년에 더욱 바빠질 전망이다.
뉴질랜드 상공회의소에서 감사패를 의뢰 받은 것.
3월 말 정상회의를 위해 입국하는 존 키 수상과
한국계 출신 소수민족부 차관 멜리사 리를
위한 것이다. 또한 이제까지의 작품 활동이 인정을
받아 싱가포르, 홍콩, 상하이 등 굴지의
에이전시로부터 러브콜을 받았다. 환경조각가라는
타이틀로 활동 무대를 확대하고 있는 그녀,
조만간 새로운 모습으로 우리 앞에 나타날 것이다.
환경조각 시장의샛별 이진, 그녀의 꿈은 크다.
나라의 랜드 마크가 되는 작품, 100년이 지나도
1000년이 지나도 어느 시대, 어느 공간에 두어도
어울리는 작품을 꿈꾼다. 시대에 국한되지 않는
정서를 가진 돌 오마루 스톤과 함께
그녀는 한국의 가우디(스페인 건축가)를 꿈꾼다.
글_ 이소령 기자 / 사진_ 이정호 기자